팝업레이어 알림

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.

미디어룸

상조업계 1위

미디어룸

상조업계1위 프리드라이프의 상품을 전문 판매하는 1등사업단 서울남부사업단입니다.

플레이스상위노출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-04-03 11:55

본문

플레이스상위노출 무역 적자 규모를 수입액으로 나눈 의혹한국 세율 50% 제시… 사실과 전혀 달라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백악관에서 상호 관세 부과 계획서에 서명하고 있다. /AFP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 각 나라별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며 구체적인 산식을 공개하지 않았다. “각 나라가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의 절반만큼만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”고 했는데, 이날 트럼프가 근거로 든 한국의 대미(對美) 관세율 50%는 사실이 아니다. 이런 가운데 X(옛 트위터) 등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백악관의 ‘관세율’ 계산이 지난해 기준 미국의 무역 적자를 미국의 수입액(외국 입장에선 수출액)으로 나눈 값이라는 얘기가 확산하고 있다. 이 산식에 따르면 무역 적자가 작아질수록 ‘관세율’도 거기에 비례해 낮아지는 구조다.이날 트럼프가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손에 든 차트를 보면 한국의 대미 관세율은 50%라 돼 있다. 백악관은 이에 대해 각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, 보조금·환율 등 비(非)관세 장벽을 두루 고려해 산출한 숫자라 밝히면서도 구체적인 산식이나 근거는 공개하지 않았다. 그런데 상호관세 발표 직후 인터넷에서는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“트럼프가 제시한 관세가 단순히 미국의 무역 적자를 총수입액으로 나눈 값 같다”는 주장이 제기됐다. 지난해 미 인구조사국(USCB) 자료를 보면 미국의 대(對)한국 무역 적자액은 약 655억 달러, 대한 수입액은 1315억 달러였는데 이를 토대로 하면 49.8%(약 50%)가 나온다.이는 차트 상위에 있던 다른 나라를 기준으로 계산해봐도 들어맞는다. 미국은 지난해 유럽연합(EU)에서 약 2350억 달러 무역 적자를 봤고, 총 수입액은 6050억 달러였다. 이렇게 하면 38.8%인데 트럼프가 든 차트에 EU의 대미 관세율은 39%로 기재돼 있었다. 중국에서는 4380억 달러를 수입했고 2950억 달러의 무역 적자를 봤는데 이 경우 트럼프식 관세율은 67.3%(차트에는 67%로 기재)가 된다. 일본에서는 1480억 달러를 수입해 680억 달러의 적자를 봤고, 베트남에서는 1230억 달러를 수입해 136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. 트럼프가 제시한 두 나라의 대미 관세율은 각각 46%와 90%였다. 필리핀(34%), 이스라엘무역 적자 규모를 수입액으로 나눈 의혹한국 세율 50% 제시… 사실과 전혀 달라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백악관에서 상호 관세 부과 계획서에 서명하고 있다. /AFP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 각 나라별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며 구체적인 산식을 공개하지 않았다. “각 나라가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의 절반만큼만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”고 했는데, 이날 트럼프가 근거로 든 한국의 대미(對美) 관세율 50%는 사실이 아니다. 이런 가운데 X(옛 트위터) 등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백악관의 ‘관세율’ 계산이 지난해 기준 미국의 무역 적자를 미국의 수입액(외국 입장에선 수출액)으로 나눈 값이라는 얘기가 확산하고 있다. 이 산식에 따르면 무역 적자가 작아질수록 ‘관세율’도 거기에 비례해 낮아지는 구조다.이날 트럼프가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손에 든 차트를 보면 한국의 대미 관세율은 50%라 돼 있다. 백악관은 이에 대해 각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, 보조금·환율 등 비(非)관세 장벽을 두루 고려해 산출한 숫자라 밝히면서도 구체적인 산식이나 근거는 공개하지 않았다. 그런데 상호관세 발표 직후 인터넷에서는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“트럼프가 제시한 관세가 단순히 미국의 무역 적자를 총수입액으로 나눈 값 같다”는 주장이 제기됐다. 지난해 미 인구조사국(USCB) 자료를 보면 미국의 대(對)한국 무역 적자액은 약 655억 달러, 대한 수입액은 1315억 달러였는데 이를 토대로 하면 49.8%(약 50%)가 나온다.이는 차트 상위에 있던 다른 나라를 기준으로 계산해봐도 들어맞는다. 미국은 지난해 유럽연합(EU)에서 약 2350억 달러 무역 적자를 봤고, 총 수입액은 6050억 달러였다. 이렇게 하면 38.8%인데 트럼프가 든 차트에 EU의 대미 관세율은 39%로 기재돼 있었다. 중국에서는 4380억 달러를 수입했고 2950억 달러의 무역 적자를 봤는데 이 경우 트럼프식 관세율은 67.3%(차트에는 67%로 기재)가 된다. 일본에서는 1480억 달러를 수입해 680억 달러의 적자를 봤고, 베트남에서는 1230억 달러를 수입해 136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. 트럼프가 제시한 두 나라의 대미 관세율은 각각 46%와 90%였다. 필리핀(34%), 이스라엘(33%), 인도(52%) 등을 봐도 이 산식이 들어맞는다.애틀랜틱과 뉴요커 등에 기고하는 제임스 수로위키는 이날 X에서 “그들은 실제로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계산하지 않 플레이스상위노출